네가 진리의 말씀을 올바로 나누어 자신이 하나님 앞에 부끄럽지 않은 일꾼으로 인정받도록 공부하라(딤후 2:15).
신학생 칼럼 분류

혼을 살리는 캠퍼스 사역의 본질

컨텐츠 정보

본문

성경대로믿는사람들 <2025년 11월호>

한국 사회의 탈종교화 현상이 이제는 거스를 수 없는 흐름이 되었다. 한국리서치의 최신 조사에서 국민의 과반(51%)이 무종교인으로 밝혀졌으며, 특히 청년층의 70%가 무종교인이라는 통계는 종교가 미래 세대에게 매력을 잃고 있음을 보여 주는 분명한 지표이다.

위와 같은 문제를 의식했는지 기독교계에서는 캠퍼스 복음화를 위해 힘쓰려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국내의 모 기독교 대학에서는 교목과 교수와 학생이 합심하여 직접 전도에 나선 결과 작년에만 2,424명의 “결신자”와 325명의 “세례자”를 얻었다는 소식을 전했다. 여기서 멈추지 않고 이들은 새로운 결신자들이 지역 교회에 효과적으로 안착할 수 있도록 구체적인 로드맵을 구상하고 있다고 했다.

그러나 수많은 “결신자”라는 숫자가 결코 진정한 “복음화”와 동일어가 될 수는 없다. 복음화의 핵심은 바른 말씀 위에 세워지는 것이기 때문이다. 제아무리 뜨거운 열정과 잘 짜인 프로그램이나 행사가 있다 해도, 그 안에 담긴 복음의 내용과 양육의 방식이 성경의 진리에서 벗어난다면 공허한 구호에 그칠 수밖에 없다. 따라서 필자는 오늘날 캠퍼스 사역의 두 가지 흐름을 비교함으로써, 무엇이 진정으로 청년들의 혼을 살리는 캠퍼스 사역의 본질이 되는지를 점검해 보고자 한다.

현대의 많은 기독교 단체에서는 복음을 전파할 때 “예수님은 당신을 사랑하셔서 십자가에서 죽으셨다”는 메시지를 중심으로 전한다. 물론 “하나님의 사랑”은 복음의 핵심이다. 하지만 그것이 전부라면, 그러한 복음은 “죄의 심각성”과 “하나님의 공의”를 간과한 “반쪽짜리” 메시지가 될 뿐이다. 듣는 이의 거부감을 최소화하고 마음을 여는 데 초점을 맞춘 이러한 접근법은 복음을 심리적 위로나 긍정적 메시지로 축소시킬 수 있다. 말하자면 죄인들은 ...

전체 302 / 1 페이지
RSS
번호
제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