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NS(도메인 네임 서버) 변경에 따른 홈페이지 접속 공지
작성자 정보
- 최고관리자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37 조회
- 목록
본문
2025년 10월 5일(일) 밤 11시에 말씀보존학회 홈페이지 DNS(도메인 네임 서버)를 변경합니다. 변경 이후 지역에 따라서 1-3일 정도 일시적으로 홈페이지 접속이 원활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1. 홈페이지 접속이 원활하지 않는 이유와 해결 방법
DNS 정보를 변경하면 변경된 정보가 인터넷 상으로 전파가 되는데, 호스팅 업체에 따라서 캐시서버를 운영하거나 갱신 주기를 오랜 시간(2~3일)으로 설정해 놓는 경우가 있어, 변경된 정보가 빠르게 업데이트 되지 않아 접속이 원활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1-3일 정도 인터넷 상의 DNS 정보가 모두 업데이트 되기 전 접속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현재 이용 중이신 PC의 DNS 설정을 구글(Google) DNS로 변경하여 해결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구글 DNS를 전세계 사용자들이 사용하는 관계로 인터넷 속도가 다소 느리다고 느껴질 수도 있으나, 변경된 DNS 정보가 가장 빠르게 업데이트 되기 때문에 사이트 접속이 가능합니다.
만약, 변경 후에도 접속이 원할하지 않으면 아래의 DNS 변경 방법대로 변경해 보십시오. 변경 하셨음에도 사이트 접속이 안되시는 경우에는 이메일(admin@biblemaster.co.kr)이나 1:1 문의를 남겨 주십시오.
2. DNS 변경 방법
2.1 윈도우 환경(Windows)
2.1.1. 윈도우 제어판으로 이동합니다.
2.1.2. 제어판에서 “네트워크 및 공유 센터” 클릭 합니다. 이후 네트워크 및 공유 센터 창에서 우측에 보이는 “로컬 영역 연결” 버튼을 클릭합니다. (경우에 따라서 무선랜 환경 또는 기타 현상으로 인해 다른 메시지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
2.1.3. “로컬 영역 연결” 링크를 클릭하신후 좌측 하단에 “속성” 버튼을 클릭하여 속성 설정화면으로 진입합니다.
2.1.4. 속성 화면 가운데 “이 연결에 다음 항목 사용” 부분의 스크롤을 내리시면 “Internet Protocol Version 4 (TCP/IPv4)“가 있는데 이를 더블클릭 합니다.
2.1.5. 하단에 있는 “다음 DNS 서버 주소 사용” 을 선택 하신 후, “기본 설정 DNS 서버” 칸에는 “8.8.4.4”로 “보조 DNS 서버” 칸의 내용은 8.8.8.8 로 설정하신 후, “확인” 버튼을 클릭합니다.
2.1.6. 이후 기존까지 열었던 창을 모두 닫으시고, 브라우저를 종료하셨다가 다시 브라우저를 열고 접속해 보십시오.
2.2 맥 환경(Mac OSX)
2.2.1. “시스템 환경 설정“으로 이동합니다.
2.2.2 Launch Pad를 실행하면 시스템 환경 설정 아이콘을 확인할 수 있으며 시스템 환경설정을 클릭합니다. 또는 [파인더(Finder)를 클릭후 > 시스템 환경설정]을 클릭하여 이동합니다. 파인더를 통해 응용프로그램 안에 있는 시스템 환경설정 아이콘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2.2.3. 시스템 환경 설정에서 “네트워크“를 클릭합니다.
2.2.4. 네트워크 화면에서 좌측에 현재 연결된 인터넷 수단(무선랜 또는 Ethernet 또는 이더넷)을 선택한 후, 우측 하단에 있는 “고급" 버튼을 클릭합니다.
2.2.5. 고급 버튼을 클릭한 후 나오는 추가 설정 창에서 <DNS> 탭을 클릭합니다.
2.2.6. DNS 탭에서 좌측에 DNS 서버에 기존에 설정된 DNS 서버의 주소가 나타나게 됩니다. 기존 주소가 구글 DNS 주소인지 확인 하시고, 아닌 경우에는 DNS 주소를 선택하여 좌측 하단에 있는 마이너스 (-) 표시 버튼을 눌러 삭제한 후, 플러스(+) 버튼을 클릭하여 DNS 서버 주소를 <8.8.4.4>, <8.8.8.8> 로 두 개 추가합니다.
2.2.7. 추가가 완료된 이후에는 우측 하단에 있는 “승인” 버튼을 눌러서 설정을 저장하시고 난 뒤 네트워크 창을 닫고 나옵니다.
2.2.8. 설정을 완료하신 후에는 브라우저를 종료 하셨다가 다시 브라우저를 실행한 후 사이트 접속을 확인해 주십시오.
1. 홈페이지 접속이 원활하지 않는 이유와 해결 방법
DNS 정보를 변경하면 변경된 정보가 인터넷 상으로 전파가 되는데, 호스팅 업체에 따라서 캐시서버를 운영하거나 갱신 주기를 오랜 시간(2~3일)으로 설정해 놓는 경우가 있어, 변경된 정보가 빠르게 업데이트 되지 않아 접속이 원활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1-3일 정도 인터넷 상의 DNS 정보가 모두 업데이트 되기 전 접속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현재 이용 중이신 PC의 DNS 설정을 구글(Google) DNS로 변경하여 해결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구글 DNS를 전세계 사용자들이 사용하는 관계로 인터넷 속도가 다소 느리다고 느껴질 수도 있으나, 변경된 DNS 정보가 가장 빠르게 업데이트 되기 때문에 사이트 접속이 가능합니다.
만약, 변경 후에도 접속이 원할하지 않으면 아래의 DNS 변경 방법대로 변경해 보십시오. 변경 하셨음에도 사이트 접속이 안되시는 경우에는 이메일(admin@biblemaster.co.kr)이나 1:1 문의를 남겨 주십시오.
2. DNS 변경 방법
2.1 윈도우 환경(Windows)
2.1.1. 윈도우 제어판으로 이동합니다.
2.1.2. 제어판에서 “네트워크 및 공유 센터” 클릭 합니다. 이후 네트워크 및 공유 센터 창에서 우측에 보이는 “로컬 영역 연결” 버튼을 클릭합니다. (경우에 따라서 무선랜 환경 또는 기타 현상으로 인해 다른 메시지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
2.1.3. “로컬 영역 연결” 링크를 클릭하신후 좌측 하단에 “속성” 버튼을 클릭하여 속성 설정화면으로 진입합니다.
2.1.4. 속성 화면 가운데 “이 연결에 다음 항목 사용” 부분의 스크롤을 내리시면 “Internet Protocol Version 4 (TCP/IPv4)“가 있는데 이를 더블클릭 합니다.
2.1.5. 하단에 있는 “다음 DNS 서버 주소 사용” 을 선택 하신 후, “기본 설정 DNS 서버” 칸에는 “8.8.4.4”로 “보조 DNS 서버” 칸의 내용은 8.8.8.8 로 설정하신 후, “확인” 버튼을 클릭합니다.
2.1.6. 이후 기존까지 열었던 창을 모두 닫으시고, 브라우저를 종료하셨다가 다시 브라우저를 열고 접속해 보십시오.
2.2 맥 환경(Mac OSX)
2.2.1. “시스템 환경 설정“으로 이동합니다.
2.2.2 Launch Pad를 실행하면 시스템 환경 설정 아이콘을 확인할 수 있으며 시스템 환경설정을 클릭합니다. 또는 [파인더(Finder)를 클릭후 > 시스템 환경설정]을 클릭하여 이동합니다. 파인더를 통해 응용프로그램 안에 있는 시스템 환경설정 아이콘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2.2.3. 시스템 환경 설정에서 “네트워크“를 클릭합니다.
2.2.4. 네트워크 화면에서 좌측에 현재 연결된 인터넷 수단(무선랜 또는 Ethernet 또는 이더넷)을 선택한 후, 우측 하단에 있는 “고급" 버튼을 클릭합니다.
2.2.5. 고급 버튼을 클릭한 후 나오는 추가 설정 창에서 <DNS> 탭을 클릭합니다.
2.2.6. DNS 탭에서 좌측에 DNS 서버에 기존에 설정된 DNS 서버의 주소가 나타나게 됩니다. 기존 주소가 구글 DNS 주소인지 확인 하시고, 아닌 경우에는 DNS 주소를 선택하여 좌측 하단에 있는 마이너스 (-) 표시 버튼을 눌러 삭제한 후, 플러스(+) 버튼을 클릭하여 DNS 서버 주소를 <8.8.4.4>, <8.8.8.8> 로 두 개 추가합니다.
2.2.7. 추가가 완료된 이후에는 우측 하단에 있는 “승인” 버튼을 눌러서 설정을 저장하시고 난 뒤 네트워크 창을 닫고 나옵니다.
2.2.8. 설정을 완료하신 후에는 브라우저를 종료 하셨다가 다시 브라우저를 실행한 후 사이트 접속을 확인해 주십시오.
관련자료
-
다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